February 2023

1

3

4

4.5

5

6

7

8

[탄가시장]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우오마치에 있는 탄가시장은 다이쇼시대 초 인접한 칸타게천을 오르는 배가 짐을 들어 장사를 시작하면서 "기타큐슈의 부엌"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요정이나 음식점 등 요리사들도 사러 올 정도의 가게가 200여 개나 늘었지만 지난해 2022년 4월, 8월 두 번의 화재로 시장의 대부분을 소실했습니다.

5~8번째 사진은 작년 말 풍경입니다. 나이나 장르에 상관없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나, 또 하나 쌓아가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어서 오세요." "감사합니다." 라고 장사하는 힘이 아케이드를 넘어 울려 퍼지고 있었습니다.

탄가시장은 자연발생적인 상점들의 모임에서 확산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드는 신기한 힘이 있는 곳일지도 모릅니다.

어릴 적부터의 추억이 가득 담겨 있는 탄가시장. 기타큐슈 시민으로서도 다시 새로운 형태로 이어갔으면 좋겠다고 바라고 있습니다. 응원할게요.

탄가시장
https://goo.gl/maps/r6DzFdt8tExsLHwd8
와카마츠 쇼룸
https://www.shokunin.com/kr/showroom/wakamatsu.html

참고자료
https://www.tangaichiba.jp/about/about01/

1

2

3

5

[된장이 의사를 죽이다]

"하루에 한 개의 사과를 먹으면 의사는 필요 없다(An apple a day keeps the doctor away)"는 영국의 속담이지만 일본에는 "미소(된장)가 의사를 죽이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된장을 먹고 있으면 의사에게 갈 일이 없기 때문에 의사는 돈을 벌지 못하는 뜻입니다. 미소는 일본의 건강을 지탱하는 전통 식품 중 하나, 그래서 미소와 관련된 속담은 많이 있습니다.

콩으로 만들어지는 미소는 생활 습관병 예방 등 많은 건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소에는 원료에서 유래한 영양소 외에 발효에 의해 생기는 다양한 유효 성분도 포함됩니다. 주요 영양소는 단백질, 칼슘, 칼륨, 비타민 B군, 비타민 E, 레시틴, 사포닌, 이소플라본 등입니다.미소의 단백질은 발효에 의해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고 재료인 콩 단백질에는 인간의 체내에서는 만들 수 없는,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 영양가는 고기나 계란에 필적한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콩 등을 사용한 대체 고기 등 플랜트 베이스 푸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만, 미소도 그 중 하나입니다.

미소의 기원은 음식 보존의 "장(醤)"입니다. 수렵생활 구석기시대와 조몬시대에 음식 보존으로 소금에 잡곡누룩과 술을 섞어 숙성시킨 "육장(肉醤)"이나 "액젓(魚醤)"이 있었습니다. 농경생활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콩과 밀 등의 곡류인 "곡장(穀醤)"이 생겨났고 그것을 으깨어 페이스트로 만든 것이 미소의 원형이 되었다고 합니다.

미소는 중국에서 탄생하여 전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고대 중국에서 콩 염장 식품인 "장"은 장이 되기 전 숙성 도중의 것이 매우 맛있었고, 그것이 미소라는 식품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로 인해 "아직(未) 장이 되지 않는 것"으로 "미쇼우(未醤)"라고 명명되었으며, 미쇼우→미쇼→미소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콩으로 만드는 "곡장"에는 중국의 두고장, 한국의 된장 등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많은 가정에서 미소가 만들어졌습니다. 콩을 삶아 으깨고 누룩과 소금을 섞어 시원한 곳에 몇 달 두고 자연 발효 숙성시켜 만듭니다. 일반적인 미소 담그기는 추위가 심해지는 1월 하순부터 2월이 좋다고 하며, 먹을 때는 10~11월입니다. 추운 시기에 담그는 것은 잡균이 번식하기 어렵고 누룩균의 움직임이 활발하고 발효 숙성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수제 미소는 정말 맛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도전해보세요.

일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미소시루(된장국)은 가마쿠라 시대 절구가 중국에서 전래되기 전에는 단품 요리로 먹었습니다. 에도 시대에 들어가고 나서, 낟알 미소를 절구로 갈아 미소시루로 만드는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한 국물 한 반찬이 일반적인 식사 스타일이 되었습니다.지금의 미소는 알갱이 미소는 아니지만, 절구로 미리 으깨어 두면 녹기 쉽고 콩알이 잘 가라앉지 않는 미소시루가 되므로 추천합니다. 그리고 미소 만들기나 미소 저장 용기에는 법랑 소재를 사용하면 잡균이 번식하기 어렵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불로장수 약이라는 별명도 있는 미소시루, 매일 먹는 미소시루로 건강하게 삽시다.

야마타다 가토엔 낫도 접시
https://www.shokunin.com/kr/yamatada/natto.html
이치요우가마 스리바치
https://www.shokunin.com/kr/ichiyou/suribachi.html
노다호로 Square Stocker 뚜껑 있음 (MS-12K)
https://www.shokunin.com/kr/noda/

참고자료
https://ja.wikipedia.org/wiki/味噌
https://kotobank.jp/word/味噌-138723
https://www.isesou.co.jp/misodukuri/
https://misotan.jp/misotannjyou/
https://ja.wikipedia.org/wiki/味噌汁

no title

1

3

4

[핫팩과 탕파]

입춘을 맞아 달력상으로는 봄. 와카마츠 쇼룸이 있는 후쿠오카현에서는 봄이 왔음을 알리는 매화 개화가 발표되는 등 봄기운을 곳곳에 느끼면서 아직 가만히 있으면 춥다고 느끼는 날도 많습니다.

큐슈는 따뜻하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계신 분도 계시겠지만 북부 큐슈라고 불리는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은 사실 혼슈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겉옷도 두꺼운 방한용에서 밝은 색의 것이나 조금 가벼운 것을 선택하고 싶어지는 것도 이 계절. 겉보기에는 가볍게 하면서 옷 밑이나 주머니에 숨기는 핫팩에 대해 문득 궁금해서 조사해 보았습니다.

핫팩은 일본 독자적인 보온구로 에도 시대의 "온자쿠(温石)"가 뿌리로 되어 있습니다. 에도시대 불으로 돌이나 모래를 따뜻하게 데워 천에 싸서 기모노 품에 넣어 몸을 따뜻하게 했다고 합니다. 그 밖에도 소금과 쌀겨를 섞은 것을 볶아서 천에 싼 소금온자쿠을 품에 넣거나 잘 때 이불 발 밑에 놓는 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핫팩(일본어로 "카이로")은 한자로 "懐炉"라고 쓰는데 주머니(옷 안쪽)의 화로(불이나 향 등을 피우는 설비·기구)인 것에서도 온자쿠가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 생활에서 핫팩이라고 하면 일회용 물건이 익숙하지만, 메이지 시대에는 금속 용기에 열원을 내장하는 재식 핫팩을 제조하는 업체가 국내에 다수 나타나 다이쇼 말기가 되면 금속제 통에 가열성 액체 벤진을 넣어 불에 데워지면 봉투에 넣어 핫팩으로 사용하는 것이 등장했습니다. 1970년대에는 쇳가루를 사용하여 발열시키는 구조를 힌트로 일본에서 처음으로 일회용 핫팩이 개발되었습니다. 일본 기업에 의한 발명품으로서 해외에도 다수 수출되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보온구 중 하나로 탕파도 있습니다. 일본에는 무로마치 시대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옛날에는 도자기가 주를 이뤘고 구리 등 금속제가 나타난 것은 다이쇼기 이후. 쇼와 30년 이후에 천연 고무 제품이 보급되었습니다. 그 후에도 수지제 등이 생겨 다양한 소재의 탕파가 저희 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것은 아닐까요?

Ceramic Japan의 yutanpÖ는 도자기로 만든 탕파입니다. 소재를 자기로 함으로써 포근한 온기가 오래 지속되고 전체적으로 요철이 없어 안기 좋은 부드러운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뚜껑을 떼면 전자레인지로 데울 수도 있습니다.

잘 때 몸의 말단이 따뜻해지면 잠이 들 때 심부 체온이 떨어지기 쉽고 잠이 잘 드는 것 같습니다. 배를 따뜻하게 하면 효율적으로 혈액이 순환하고 말단까지 따뜻해지기 때문에 추천합니다. 아직 춥다고 느끼는 날에는 탕파를 배에 안고 따뜻하게 지내 보는 것은 어떻습니까?

Ceramic Japan yutanpÖ
https://www.shokunin.com/kr/ceramicjapan/yutanpo.html

참고자료
https://ja.wikipedia.org/wiki/%E6%B8%A9%E7%9F%B3
http://www.yutanpo-fashy.com/history/index.html